posted by Belle〃♬ 2017. 1. 24. 21:33

미군의 인종 차별주의


괴로운 이야기지만, 미군은 한국인의 목숨을 하찮게 보는 강한 인종 차별주의를 갖고 있었다. 단지 인종 차별주의 때문에 한국인을 함부로 죽였다는 의미가 아니다. 어떤 전쟁이건 군인들은 오직 전쟁 수행의 효율성만으로 전쟁을 치르진 않는다. 고려해야 할 다른 요소들이 있기 마련이고,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건 민간인들의 목숨일 것이다. 전쟁 수행에 상충되는 요소들이 나타났을 때 그 요소들의 무게나 가치를 비교적 낮게 평가하는 심리 상태에 인종 차별주의가 알게 모르게 작용할 수 있다는 건 결코 무리한 추정은 아닐 것이다.


미군 장성 로톤 콜린스는 한국전쟁은 "현대전보다는 우리의 인디언 개척 시절 전투와 더 유사한 구식 전투로의 회귀"를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이 말에 인종 차별주의의 혐의를 두는 건 부당한 일이겠지만, 전쟁의 대상이 어떤 인종인가에 따라 미군의 대응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상기시켜 주는 의미는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해방정국의 역사에서 살펴보았듯이, 미군은 한국인들을 결코 동등한 인간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한 미군 중위가 말했듯이, "문화인들이라면 대체로 조선인들을, 동양인들을 자신과 동등하게 생각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 지도자들은 우리가 여기에서 사는 것이 얼마나 힘겨운지 알고 있었기 때문에 우리를 여기에 오랫동안 방치하지 않는다."


사실 미군이 한국인을 존중하거나 좋아한다는 건 기대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얼마 후 유엔군을 지휘하게 되는 메튜 리지웨이는 회고록 『한국 전쟁』에서 "미군들이 한국전에서 기억하는 것은 오 천지에 깔린 똥냄새 뿐"이라고 썼다. 똥냄새만 미군을 괴롭힌 건 아니었을 것이다. 손철배에 따르면,


"우선 겉으로 드러난 한국인들의 비참한 생활상은 한국을 보다 깊이 이해하려는 생각을 아예 꺾어 버렸다. 당시 제2차 세계대전의 전승국으로서 경제적 풍요가 절정에 달했던 미국과 폐허가 된 한국은 그야말로 하늘과 땅 차이였으므로 한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었다. 한국인들은 자부심이 강하고 점잖다는 설며에 미군 병사들은 '우리가 지금까지 본 한국인들은 모두 추한 꼴의 거지이거나 짐승들도 살기 어려운 움막에 살고 있는 농민뿐이다. 그들은 자부심과 예절은 고사하고 문명화되지도 못한 미개인에 불과하다'라고 반박하기 일쑤였다. 실제로 미군들만 보면 '헤이 싸전(sergeant), 기브 미 초콜릿, 기브 미 캔디' 하면서 달려드는 고아 같은 어린이들과 틈만 나면 뭔가를 훔쳐가는 한국인들을 자주 접하며 좋은 인상을 가질 수 없었을 것이다. 특히 한국인들의 좀도둑질은 미국인들의 첫째가는 조롱이었다. 당시의 유명한 코디미언 밥 호프는 한국 아이가 비행기의 랜딩 기어를 훔쳐갔기 때문에 위문공연에 늦었다고 조크하여 청중들의 폭소를 자아내기도 했다. 어니 미국인은 파카 만년필을 일부러 드러내놓고 돌아다니자 하룻동안 네 번이나 소매치기 당할 뻔했다고 주장했다."


물론 이 견해는 이후 한국전쟁이 진전되면서 미군들이 한국인들에 대해 갖게 된 생각까지 포함하고 있지만, 이미 3년간의 군정 경험을 갖고 있는 미군들은 한국전쟁 초기부터 한국인들을 동등한 인간으로 생각하진 않았다.


미군은 한국인의 옷을 '흰 파자마'라고 불렀는데, 이들은 '흰 파자마'를 입은 사람은 누구나 잠재적인 적으로 간주하였다. 영국의 전쟁 특파원 레지날드 톰슨은 『한국의 통곡』이라는 책에서 "미군 헌병들은 적들을 사람처럼 이야기하지 않고 원숭이처럼 취급한다"고 썼다. 톰슨은 "그렇지 않으면 이 천성적으로 친절하고 너그러운 미국인들이 그들을 그렇게 무차별적으로 죽이거나 그들의 집과 빈약한 재산을 박살낼 수는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미군의 인종 차별주의는 가끔 한국인들에게 기존 좌우 구분의 의미를 회의하게 만들기도 했다. 윤택림에 따르면,


"미군의 인종 차별주의가 한편으로는 지방 좌익뿐만 아니라 우익을 분노하게 했다. ······ 우익 청년들은 종종 한국 사람을 동물로 생각하고 좌익 색출시 무차별적으로 총을 쏘아대는 미군과 싸움이 붙었다고 한다. ······ 이러한 인종 차별적인 과잉 반응은 미군 병사와 한국 우익집단 간의 계속적인 분열을 일으켰다."




44년간 '존재하지 않았던 사건'


노근리 사건은 44년간 '잊혀진 사건' 아니 아예 '존재하지 않았던 사건'으로 머물러야 했다. 1994년 6월 노근리 사건 대책위원회가 꾸려져 정부 요로에 진정서와 탄원서를 냈지만 모두 답이 없었다. 노근리 사건은 『조선인민보』 1950년 8월 19일자가 6단 크기로 상세히 보도한 이래로 1994년 4월 29일 연합통신에 의해 첫 보도가 이루어지고 『월간 말』 94년 7월호에 의해 상세히 다루어지기까지 44년간 언론매체에서 단 한번도 언급되지 않았다.


1999년 9월 미국 AP 통신이 보도해 세계적 이슈가 되고 나서야 한국에서도 노근리 사건이 큰 이슈가 되었다. 99년 10월 초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과 한국 대통령 김대중이 진상 규명 지시를 내렸다. 2001년 1월 12일 클린턴은 사과 성명을 냈다. 유족들은 미국보다는 한국 정부에 맺힌게 더 많다. "군사정권 때야 아무 소리도 못하지. 술김에 벙끗하기만 해도 바로 경찰서에 데려갔다."


당시 학살 현장에 있었던 한 미군 병사는 그때로부터 49년이 지나서도 "아직도 바람 부는 시절이 되면 어린아이들의 울부짖는 소리가 들린다"고 고백했다.




출처 : 한국 현대사 산책 - 1950년대 편, 강준만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