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Belle〃♬ 2007. 8. 11. 22:59
7. 서청의 착취와 '민보단 강요'

여순사건 직후 48년 11~12월 두 달 사이에 최소한 1천 명 이상의 서북쳥년회 단원들이 경찰이나 경비대원으로 급히 옷을 갈아입고 진압작전에 투입되었다. 이 일엔 이승만이 앞장섰다. 미군의 48년 12월 6일자 보고에 따르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대통령(이승만)과 내무부장관(신성모)의 합의에 따라 서북청년단원들이 한국군에 6천500명, 국립경찰에 1천700명이 공급될 예정이다. 이들은 남한 지역에 있는 9개 경비대와 각 경찰청에 배정될 것이다. 모든 단체들 간의 상호합의에 따라, 서북청년회는 경찰에서 단원 20명당 경사 1명, 50명단 경위 1명, 200명당 경감 1명 등의 비율로 경사급과 간부급 요원으로 배치하도록 합의돼 있다."

이승만은 12월 10일 서북청년회 총회에 참석해 "제주도 4.3사태와 여수,순천 반란사태로 전국이 초비상사태로 돌입했다. 이 국난을 수습하기 위하여 사상이 투철한 서북청년회를 전국 각지에 배치하겠다"고 말했다.

이승만은 "사상이 건전한 여러분이 나서야 한다"며 서청의 제주 파견을 앞장서서 독려했는데, 여기엔 미군도 가세했다. 미군 보고서는 "제주도의 서북청년단이 경찰과 경비대를 지원하게 된 것은 몇몇 미군 장교들의 추천에 의한 것이었다"고 기록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청 단원들은 '특별 중대(elite company)'라는 특수 임무를 부여받았는데, 이들에겐 군 내부의 '반대자 색출' 이라는 헌병 기능까지 부여되었다. 그러나 정작 줘야 할 건 주지 않았다. 이승만 정권은 서청 대원들을 대거 경찰이나 군인으로 내려보내면서 월급이나 보급 체계를 제대로 갖추지 않은 채 현지 조달하라는 식으로 내몰았으며, "제주도민들은 사상적으로 믿을 수 없다. 대부분이 빨갱이 물이 들었다. 그러기 때문에 사상이 건전한 서청이 이곳을 진압해야 한다"는 논리를 주입시켰다.

서청 단원들은 3.1사건 직후부터 제주에 내려오기 시작했는데, 이들은 그때부터 경찰과 더불어 민중을 착취하는 길로 들어섰다. 김종민에 따르면,

"당초 서청은 민간인 자격으로 제주도에 들어왔다. 처음엔 주로 엿장수를 하다가 점차 세력이 커지자 이승만의 사진과 태극기를 강매했다. 4.3이 발발하자 서청은 경찰로 또는 군인으로 옷을 바꿔 입었다. 과거에 이승만 사진과 태극기를 사지 않았던 사람들은 총살되었다. 서청의 위세는 너무도 커서 제주 출신은 경찰조차 꼼짝 못했다."

이승만 정권의 의도된 서청의 착취행위 조장의 결과는 가공할 만한 것이었다. 서청의 악탈행위에 대한 제주도민들의 분노는 하늘을 찔렀고, 그걸 감내하든가 아니면 다른 선택을 해야 하는 양자택일의 구도로 내몰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군인도 아니고 경찰도 아니고 사람 피쟁이(백정) 서북청년단들, 다 사람백정이지, ...... 순 엿장수나 하던 무식한 것들이었지. ...... 매일 소 한마리 말 한마리 잡으라 하고, 조금만 거슬리면 잡아다가 총대가리로 때리고, 죽였지. ...... 시계 달라고 해서 안 주면 죽여 버렸지. 낮에는 일 시키고 밤에는 대총 들고 보초 서고 ...... 징그럽고 억울하게 그 빌어먹을 놈들의 종노릇 하며 생명까지 바치며 산 우리들. 우리들끼리 올며 분노하며 한탄하며 살았지. 산목숨으로 산 게 아니었지. 지옥살이 하듯 죽지못해 살았지. ...... 그래 살기 위해 싸우기 위해 산으로 갔지."

제주도민에 대한 착취엔 '민보단 강요'까지 가세하였다. 5.10선거에서 맹활약한 향보단은 48년 5월 22일에 해산되었지만, 이는 6월 민보단(民保團)으로 부활하였다. 제주도에선 8월 11일에 민보단이 결성되었는데, 이들은 경찰의 외곽조직으로 군경 진압작전에 동원되었다. 보초를 서는 일과 더불어 토벌작전시 죽창 등의 무기를 들고 군인이나 경찰관보다 앞서가는 총알받이 역할을 해야 했다.

제주 민보단은 5만명 규모였는데, 소집할 청년이 있을 리 없었다. 그래서 나중엔 남녀노소 모두에게 민보단의 이름 아래 동원 의무가 부여되었다. 민보단에 대한 미군의 한심한 보고서는 무지가 지나쳐 완전히 조롱이라는 느낌을 갖게 했다. 미군 보고서 49년 4월 1일자는 "제주도 남자들은 농사일보다는 보초를 서거나 토벌전에 나가는 것을 더 좋아한다"고 기록했다.



한국 현대사 산책 1940년대 편 -강준만 저- 2권 197~199쪽 그대로 인용

참고사이트
제주 4.3 연구소
제주 4.3 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 회복 위원회